|
|
|
↑↑ 금오산 입구 자연보호 운동 발상지 표지석 [사진출처 = 구미시]
|
|
[k문화타임즈= 김경홍 기자] 1977년 9월 5일 금오산 대혜폭포를 방문한 박 대통령은‘우리 청소부터 하지’라며 주변에 널브러진 병 조각을 줍기 시작했다. 당시 구미시는 박 대통령의 대혜폭포 방문을 앞두고 금오산 진입로에 나무를 가꿨다. 그 산물이 바로 금오산 진입로에 우거진 지금의 메타세콰이아 숲이다.
대혜폭포를 방문하고 상경한 열흘 후인 1977년 10월 5일 박 대통령은 산업화와 연계한 역사적인 자연보호운동을 선포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산업이 크게 발달하고 국민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어감에 따라 자연의 이용도가 급증해가고 있으며, 이와 비례해서 자연환경의 오염과 훼손도 나날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심각한 문제들을 더 늦기 전에 우리들 스스로가 슬기와 정성을 다해서 해결해 보자는 것이 이 운동의 목적이다. 조상에게서 물려받은 우리 강산을 더 아름답고 쓸모 있게 가꾸어서 후손에게 길이 물려주는 일이야말로 산업혁명의 시대에 사는 우리 세대의 의무요, 사명이다”
|
|
|
↑↑ 금오산 대혜폭포에서 청소를 하는 박정희 전 대통령 [사진출처= 구미시]
|
|
결국 세 번에 걸친 고향 선산(구미) 방문을 통해 자연보호운동의 필요성을 누누이 강조한 박 대통령의 구상이 자연보호운동 선포식이라는 소중한 유산을 구미에 선물했다.
그 중심지가 바로 금오산 도립공원이다.
그렇다면 금오산도립공원 운영 관리 실태는 어떤가. 외부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주말이나 공휴일, 그러나 탐방안내소의 문은 굳게 닫혀 있다. 이게 금오산 도립공원 관리 실태의 현주소이다.
9월 행정사무 감사에서는 자연보호운동 발상지인 금오산 도립공립공원에 대한 허술한 관리 실태가 도마 위에 올랐다. 무게감을 두어야 할 사업소가 변방 취급을 받는다는 지적도 의원들 사이에서 흘러나왔다.
|
|
|
|
↑↑ 장세구 의원 [ 사진제공= 구미시의회]
|
장세구 의원은 “전국적으로 가장 유명한 매화석을 보유하고 있는 곳이 금오산이지만 시멘트 처리 등으로 심각하게 파손하고 있다.”며 “가장 자랑해야 할 매화석이 보호는커녕 정비라는 미명 아래 시멘트 등으로 파손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장 의원은 또 “주 등산로에 설치돼 있는 데크목의 경우 수령이 10년 정도.”라며“ 교체나 수리 비용 부담은 물론 안전 시설물이 오히려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만큼 반영구적인 고무재질 등으로 교체할 필요가 있다.”고 요구했다.
이상호 의원은 “자연보호운동 발상지의 주 등산로 계단을 시멘트 처리하는 게 말이 되느냐.”며 “외부 관광객들이 시멘트 공법으로 자연을 파괴한 등산로를 보면서 혀를 차는 것이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
|
|
|
↑↑ 이상호 의원 [ 사진제공= 구미시의회]
|
허민근 의원은 “ 탐방 안내소가 평일에는 운영이 되지만 정작 외부 관광객이 많이 찾는 주말에는 문이 닫혀 있다.”며 “앞뒤 맞지 않은 탐방안내소 운영을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소장은 “직원들에게 권고도 해 보지만 개인 사정 등을 이유로 든다.”면서 사실상 현실적으로 주말 운영이 어렵다고 답했다.
|
|
|
|
↑↑ 허민근 의원 [ 사진제공 = 구미시의회]
|
허 의원은 “소규모 업체도 아닌 지자체가 관리하는 탐방안내소 운영에 대한 답변을 이해할 수 없다.”며 “주말 근무를 조건으로 기간제 요원을 공모하는 등 근본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할 소장이 임기응변식으로 운영하려는 자체를 지적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
|
|
|
↑↑ 이지연 의원[ 사진제공 = 구미시의회] |
이지연 의원은 “금오산도립공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울산 가지산 자연공원 관리조례, 문경새재 전동차 관련 조례, 가산산성 야영장 관련 조례 등 도립공원이 소재한 지자체는 대부분 관련 조례 제정을 통한 지원 근거를 마련해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면서 서둘러 조례를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9대 의회 들어 ‘자연보호운동 발상지’ 구미를 재조명하자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지난 9월 환경정책과 행정사무 감사에서 김영태 의원은 25개 읍면동 분회에 3백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나 ‘자연보호운동 발상지 구미’에 걸맞는 사업은 초라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특히 자연보호운동기념관을 마련하기는커녕 탄소제로교육관에서 더부살이하는 현실이 말이 되느냐고 따졌다.
|
|
|
|
↑↑ 김영태 의원 [ 사진제공 = 구미시의회]
|
장세구 의원은 또 한국 근대화를 주도한 정책은 새마을운동과 자연보호운동이었는데도 불구하고 관련 사업은 초라하다며, 하물며 지산 앞산에 세워놓은 ‘자연보호운동 발상지 구미’ 표지판도 잡풀에 가려 보이지 않을 만큼 관심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들 의원의 지적처럼 자연보호운동을 위해 구미시가 추진하는 사업은 빈약하다. 2022년의 경우 ▲신자연보호 및 녹색 시민의식 확산 운동(시비 576만 원, 자부담 116만 원) ▲자연보호 활동 지원 (시비 4백만 원, 자부담 1백만 원)▲자연보호운동 교육 및 홍보 사업 (시비 5백40만 원, 자부담 1백만 원) 등에 드는 총사업비는 1천 796만 원이다. 이 중 자부담을 제외한 시비 지원은 1천 480만 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외에 자연보호운동 백일장이 있으나 2019년을 끝으로 코로나19로 중단된 상태다.
관련한 시설물도 지산 앞들에 세워져 있는 ‘자연보호발상지 구미’ 입간판과 금오산 입구에 세워놓은‘자연보호운동 발상지’ 표지석, 대혜폭포에 세워놓은 소형 입간판에 불과하다.
특히 소중한 구미의 유산인 자연보호운동의 전국적인 확산을 위해 ‘자연보호운동기념관’을 건립해야 한다는 여론에 밀린 구미시는 2015년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경북환경연수원 내 탄제로교육관 2층에 생색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