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문화타임즈 = 김경홍 기자] 공단조성 1호 도시이면서 산업근대화 선도 도시인 경북 구미에 산업역사박물관을 건립해야 한다는 여론이 의회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선거 때마다 후보들이 핵심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산업역사박물관 건립은 ‘소리만 요란한 빈 깡통’이었다.
구미보다 20년 늦게 출발한 후발 주자 경기 안산은 이미 2014년 박물관 건립 기본계획 수립과 타당성 조사용역을 시작으로 사업에 착수해 9년 만인 지난 7월 개관했다.
|
|
|
|
↑↑ 1호 공단조성 도시인 구미에 산업역사박물관 건립을 촉구한 김정도 의원. [ 사진제공= 구미시의회]
|
지난 15일 문화체육관광국 관광진흥과 행정사무 감사에서도 산업역사박물관 건립이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이날, 공단 조성 1호 도시에 산업박물관이 없다는 사실은 부끄러운 현실이라고 지적한 구미시의회 김정도 의원은 박물관을 건립해야 한다는 당위성에 공감한 시는 그동안 여러 차례 건립 계획을 수립해 추진했지만, 의지 부족으로 중도에 중단하면서 흐지부지됐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기업지원과는 윤성방직 부지에 산업도서관 건립을 추진했지만, 매입자와의 매입가 조정 실패로 중단했다. 신성장산업과 역시 2019년 스타트업 조성사업 계획을 수립, 추진하다 중도에 포기했다.
산업혁명 당시의 공장부지와 산업기계를 매입해 건립한 멘체스터산업 박물관을 모범 사례로 제시하기도 한 김 의원은 거듭“산업근대화의 선도도시인 구미의 정체성을 살리기 위해 산업역사 박물관을 반드시 건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산업도시역사박물관 건립의 필요성은 경북도의회에서도 거론됐다.
2020년 6월 10일 김상조 전 도의원은 5분 발언을 통해 신평, 신부, 비산, 광평, 사곡, 상모, 임은, 오태동, 칠곡군 납계동 출신 원주민들은 1공단 조성 과정에서 토지 관련 보상을 제대로 받지 못했고, 이들 실향민의 재산적 손실은 구미공단에 입주하는 기업에 저렴한 분양가로 공장부지를 제공하도록 했다면서, 적정한 보상을 받지 못한 이주민의 억울함을 명확히 규명하고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그 대안으로 국가산업단지 조성과정에서부터 지금까지 전자메카인 구미공단의 역사를 기록할 수 있는 전자산업발전기록관 및 박물관 건립을 촉구했다.
2020년 7월 16일 5분 발언을 통해 산업단지 조성과정의 자료를 기록 관리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전자산업 발전기록관 건립을 촉구한 구미시의회 장세구 의원도 대한민국 산업발전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조성과정과 발자취를 명확히 조명하고 기록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
|
↑↑ 안산 산업역사박물관 조감도. [사진 출처=안산시]
|
|
◇구미보다 20년 늦게 출발한 후발 주자 산업도시 안산, 어떻게 산업역사박물관을 건립했나?안산시 산업정책과에 따르면 안산 산업역사박물관은 2013년 박물관 건립 기본계획 수립과 타당성조사 용역을 마쳤고, 2014년 공립박물관 건립 사전평가를 통과했으며, 2015년 박물관 건립공사 추진계획 수립했다.
건축물뿐 아니라 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해 2015년까지 산업단지 내 700여 개 기업체를 대상으로 유물조사 용역을 실시했으며, 2016년 박물관 전시콘텐츠 개발 용역을 추진해 전시스토리를 구상한 후 공간별 주요 전시물 배치 계획을 수립했다.
또 2016년 수립된‘박물관 소장품 수집 및 관리 계획’을 기반으로 소장품 확보를 위해 공개 구입, 기증, 경매 등을 추진했다.
오래되고 값비싼 것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고 볼 수 있지만 안산산업을 상징하는 기업의 주요 생산품 및 대표 기술, 각종 산업기계, 생산시설, 설비 도면이 귀중한 자료가 됐다.
또 작업복 및 작업 도구, 월급봉투 등 노동자 개인 물품, 산업단지 관련 사진 및 영상물 등 산업단지와 관련된 자료 일체가 수집 대상이었다.
박물관 콘텐츠 수집 일환으로는 유형자료뿐 아니라 감동과 스토리가 있는 전시를 구성하고 소중한 무형 자료를 보존․전시․활용하기 위해 반월•시화국가산업의 주역들에 대한 구술자료를 수집했다.
산업단지 조성 전후부터 현재까지 산업단지 및 신도시 건설 관련 도시계획가, 산업단지 건설 이전 원주민 및 초기 입주자, 산업별 근로자 등이 구술대상자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