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대 의회→본질문 답변자는 시장, 보충질의 답변자는 실·국장
8대 의회→본질문·보충질의 답변 모두 시장, 상임위원회 답변자는 실·국장으로 회의 규칙 개정
이후 →상임위원회 실·국장 답변 한계 노출, 실·과장 답변으로 조정
하지만 시정질문 회의운영 방향은 유지
본질문 답변은 시장, 보충질의 답변은 실·국장이 나서도록 해야
[분석 기획 칼럼 전문매체 k문화타임즈 =발행인 김경홍] 시정질문이 있을 때마다 티격태격하는 시장과 의원의 모습은 시민이 보기에도 좋지 않다. 시장과 의원이 마주 보며 달리는 급행열차가 되다 보니, 과열 분위기를 가라앉힐 조정자 역할을 기대할 수 없다는 안타까움이 곳곳에서 흘러나온다. 회의운영 규칙을 개정해야 한다는 여론이 압도하는 이유다.
8대 의회 이전까지만 해도 시장은 회의 직전 배포한 서면 답변서를 낭독했고, 예상치 못한 질문이 쏟아지는 보충질의에는 해당 업무에 이해도가 높은 실·국장이 나섰다. 따라서 의원과 실·국장이 보충질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에 대해서는 시장이 시정질문 후 조정역할에 나서는 지혜를 발휘했다. 실보다 득이 많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회의 운영 규칙이 8대 들어 개정되면서 본질문과 보충질의에 대해 모두 시장이 답변하도록 했다. 상임위원회에서도 실·국장이 일일이 답변하도록 회의 운영 방향을 바꿨다. 이면에는 의회 의원의 위상을 강화한다는 속내가 깔려 있었으나, 부정적인 측면이 많았다. 결국 의회는 노정된 문제점을 인정하고 상임위원회에서의 답변을 실·과장이 하도록 환원했다. 하지만 시정질문에서 시장이 본질문과 보충질의 답변에 일일이 나서는 회의운영 규칙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시정 발전을 위한 시정질문이 ‘갈등을 양산하는 활화산’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의회가 원만한 회의 진행을 위해 운영 규칙을 개정해야 한다는 주문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 |
↑↑ 구미시의회 본회의장 [구미시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2025년. 5.24=k문화타임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