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새마을테마공원 잡목 사이에 덩그러니 심어놓아 역사성을 망가뜨린 박정희 향나무, 표지석은커녕 스토리텔링을 위한 노력의 흔적조차 없다. 관광산업을 성공시킨 타 지자체의 공무원들은 없는 사실도 스토리텔링화해 관광산업 부흥의 기여자가 되고 있다. 관광산업을 외치는 구미, 이래가지곤 미래 구미가 없다. [사진 제공 = 이규원 전 시의원] |
박정희 대통령은 1년 반 만에 구미를 두 번 방문할 정도로 고향에 각별한 애정을 쏟았다. 그 열정의 밑거름이 구미를 산림녹화로 상징되는 자연보호 발상지이자, 산업 근대화의 중심에 서게 했다.
1967년 3월 30일, 구미(선산) 낙동대교 개통식에 참석한 박 대통령은 벌거벗은 선산 비봉산을 올려다보며 치사를 이렇게 읽어 내렸다.
“착할 선(善) 메 산(山)자인 선산의 비봉산을 보십시오. 벌거숭이 산에 나무가 있다 하더라도 앙상한 나무들일 뿐입니다. 외국은 전부 울창하고 무성합니다. 땅이 좋고 비가 잘 와서 그런 것이 아닙니다. 어떤 나라에서는 일 년 내내 거의 비가 안 오는 땅에서도 훌륭한 나무를 심어서 몇 년 내에 울창한 숲을 이뤘습니다.
(중략) 우리들 당대에는 잘 사는 부자, 울창한 수림을 가진 나라가 될지는 모르지만, 우리들 다음 대에 가서는 우리도 남과 같이 잘 살고, 수림이 울창한 나라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합시다.”
박 대통령은 그로부터 1년 6개월이 흐른 1968년 11월 11일 원평동 선산농산물가공공장 준공식에 참석해서도 산림녹화와 자주에 의한 경제부흥론을 역설했다.
“사업의 타당성, 미래 국가 경제에 대한 기여도에 부합할 수 있는 타당한 사업 계획안을 만들어야 하고, 이런 연후에 연고(고향 구미)를 활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중략)
조상에게서 물려받은 우리 강산을 더 아름답고 쓸모 있게 가꾸어서 후손에게 길이 물려주는 일이야말로 우리 세대의 의무요, 사명입니다.”
그날, 고향 방문을 뜨겁게 환영하는 주민들과 일일이 악수를 나눈 박 대통령은 준공식이 끝난 후 선산농산물가공공장 입구에서 지역 유지들과 함께 기념식수를 했다. 그 나무가 바로 이규원 전 시의원이 부친의 유업을 받들어 지금까지 가꿔온 두 그루의 ‘박정희 향나무’이다.
한때 향나무는 역사의 현장에서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1984년 시작한 원평택지개발사업의 파고가 선산 농산물가공공장을 허물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당시 조합장은 맡았던 이종록 옹이 사업이 준공되기 1년 전인 1987년 지금의 형곡2동 효자봉 기슭 아래에 자리 잡은 본인 소유의 불당농원으로 이식하면서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
이처럼 새마을테마공원에 이식한 향나무는 박정희 대통령의 일화가 고스란히 녹아들어 있다. 타 지자체는 방문객들의 이목을 사로잡기 위해 없는 사실도 레토릭해 스토리를 입히는 일에 몰두하고 있다. 혁신적 사고로 무장한 공무원들이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이런데도 구미시는 역사성이 깃들여 있는 박정희 향나무를 새마을테마공원의 잡목 사이에 덩그러니 이식해 놓았을 뿐이다. 혁신적 사고를 가진 공무원이었다면 박정희 향나무에 스토리를 입혔을 것이다. 아울러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이 기념촬영을 할 수 있도록 포토죤까지 설치했지 않겠나.
아직도 구미시청 곳곳에는 ‘타성 행정’이 잔존해 있다. 시장과 부시장, 실·국장이 지적하면 돌아서서 얼굴을 붉히거나 불만을 늘어놓는 사례도 적지 않다. 타성에 젖어있는 행정행위로 ‘시간을 때우는’ 일부 일선 공무원들의 자성을 당부한다.
오히려 시장과 부시장, 실국장에게 ‘잘못을 잘못’이라고 따지거나 올바르다고 판단한다면 밀고나가는 개척주의 사고를 가진 진취적 공무원이 되어야질 않겠나. 당당한 공무원이 되어야 한단 말이다.
이래선 안 된다. 관광산업으로부터 또 하나의 곳간을 마련하겠다고 외치기에 앞서 소위 ‘정신머리’부터 뜯어고쳐라. 구미시의회 의원들도 광광구미에 대한 법안만을 마련할 것이 아니라 올바로 짚고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극찬도 해야 하지만 강하게 질책도 하는 ‘할 말 하는 의원’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