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기획 칼럼 전문매체 K문화타임즈=김경홍 기자] 인구 1위 자리를 양포동에 내주는 등 극심한 심리적 좌절감과 공동화 우려에 휩싸인 인동동에 구미시가 긴급 처방전을 내놓기 시작했다.
지난 21일 열린 낭만야시장 추진위원회는 회의를 갖고 원평동 새마을중앙시장에서 열려 온 낭만야시장을 인동시장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원평동 중앙시장은 4월 25일부터 5월 17일까지 매주 금·토요일, 인동동 인동시장은 5월 27일부터 31일까지 아시아 육상경기선수권대회 기간에 운영한다.
김천과 칠곡 등 경북지역 뿐만 아니라 대구 서울, 경기 지역 등에서 몰려드는 27만 명의 방문객을 통해 유발되는 특수 효과를 인동동으로까지 확대한다는 취지다.
구미시의 결정을 환영하는 인동 주민들은 제2, 제3의 낭만시장 개최 사례가 연이어져 얼어붙은 지역경기를 일으켜 세우는 모닥불로 타오르기를 기대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이경호 인동동장 등 직원들 역시 낭만시장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팔을 걷어붙인다는 결연한 각오다.
|
 |
|
↑↑ 지난해 원평동 새마을중앙시장에서 열린 낭만야시장 [사진 제공=구미시] |
|
⇁한때 구미를 먹여 살린 인동동, 이제는 구미시민이 갚을 차례 1978년 구미시 승격 이후 46년 동안 줄곧 인구 1위 자리를 지켜온 인동동은 이 기간 동안 2, 3공단에 근무하는 기업인과 근로자들의 안식처이자, 구미를 먹여 살린 젖줄 역할을 해 왔다. 하지만 2, 3산단 쇠퇴에 더해 4, 5산단을 조성하면서 발전축이 양포동과 산동읍으로 옮아갔다.
이러한 흐름이 가속화되면서 구미시가 홈페이지를 통해 인구 통계를 공개한 첫해인 2013년 11월 5만 6056명이던 인구는 11년 후인 2024년 12월에는 4만 6012명으로 1만 44명이 줄었다. 반면 4공단이 소재한 양포동은 같은 기간 4만 3954명에서 4만 6194명으로 2240명이 늘었다. 또 4공단 확장단지와 5공단이 소재한 산동읍은 3762명에서 3만 662명으로 2만 6900명이 늘었다. 이처럼 양포동과 산동읍의 내·외연 확장은 인동동의 시세 위축으로 이어졌다. 두 지역 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인동동의 인구가 격감했기 때문이다.
이 기간에 민선 7기 구미시는 이계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백지화하면서 실의까지 안겼다. 당초 이계천을 청계천이나 금오천과 유사하게 조성하게 될 경우 침체한 상권의 활성화를 통해 제2의 인동 부흥기를 기대했던 주민들은 절망에 휩싸일 수밖에 없었다. 이계천 사업을 변경하게 된 주된 원인은 민선 7기가 제공했다. 사업 성격 자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시는 이계천을 청계천처럼 조성하겠다는 장밋빛 청사진을 주민들에게 홍보했다. 이게 실책이었다.
청계천과 유사하게 조성된 금오천은 경관 위주•보행자 중심의 물 순환형 국토부 공모사업이다. 천변 양쪽에 조성된 인도를 활용해 산책로와 자전거도로의 기능을 소화해 낸다. 또 벽화시설 등 다양한 경관시설은 이용객을 늘릴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국비도 대폭 지원돼 지방비 부담도 덜게 되는 물순환형 공모사업은 상권 활성화를 통한 지역경제의 버팀목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이계천 개선사업은 환경부 공모사업으로 생태복원이 주된 목적이다. 천변 양쪽으로 보행 인도를 시설하거나 벽화 등 경관시설을 할 수 없다. 따라서 경관 위주•보행자 중심의 청계천이나 물 순환형 금오천과는 달리 이용객이 적어 상권 활성화에 대한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다. 국비가 대폭 지원되는 금오천과는 달리 사업 예산 대부분을 지방비로 충당해야 한다. 2천억 원에 가까운 지방비 부담이 결국 이계천 정비사업을 백지화(축소 변경)하게 된 주된 원으로 작용한 것이다.
현재 민선 8기는 침체한 원도심의 상권 활성화를 위해 원평동 일원을 대상으로 한 라면축제와 송정동 일원을 중심으로 한 푸드페스티벌 축제를 정례화하고 있다. 또 금오산과 연계한 금리단길 조성과 분수대 및 친환경케이블카 조성 등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거나 투입할 예정이다.
이러한 사례를 도심 공동화의 공포감에 휩싸인 인동동에 벤치마킹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게 인동 현지의 여론이다. 제2의, 제3의 라면축제와 푸드페스티벌 등을 인동동에 유치하고 천생산 복원사업에도 금오산에 못지않은 예산을 투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낭만야시장을 인동시장에 개최키로 한 이번 결정은 구미시가 내놓은 첫 첫 방전이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