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기획 칼럼 전문매체 k문화타임즈= 김경홍 기자] 구미시가 ‘구미시 낙동강 파크골프장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4월 임시회에 제출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지난 3월 5일, 2027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무료 개방하는 내용을 담은 개정 조례안을 입법예고 했다. 안건은 임시회 기간 중 15일 열리는 문화환경위원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하지만 조례안의 상임위원회 가결은 한시적 무료화를 반대해 온 일부 의원들의 설득 여부가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의회로부터 이해를 구하지 못할 경우 상정 자체가 불투명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흘러나온다.
지난해 11월 27일 2025년도 예산안 및 기금운용계획안을 예비심사한 문화환경위원회는 파크골프장 운영관리에 따른 전출금을 삭감했다. 한시적 무료개방 운영에 대한 설득 노력이 한계로 작용한 탓이다.
당시 김재우 위원장은 파크골프장 시설 운영에 대한 안을 제시하면서 이른 시일 내 명확한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했으나 설득에 한계를 보였다.
또 그해 10월 18일에도 문화환경위 김재우 위원장과 김춘남 의원 등은 2025년 1월 파크골프장에 이어 6월부터 복합스포츠센터와 시민운동장 일원의 체육시설 운영관리 위탁을 내용으로 하는 ‘시민운동장 일원 체육시설 운영위탁 사무의 동의안’ 심사 과정에서 체육시설을 도시공사에 대거 위탁하기에 앞서 유휴인력 재배치와 수십억 원대의 도시공사 전출금에 대한 깊이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며, 납득할 만한 설명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 또한 의회 설득의 벽을 넘지 못했다.
|
 |
|
↑↑ 옥성 낙동강 파크골프장 예정지 [사진 제공 =구미시] |
|
⇁민원제조기 비판받아 온 낙동강파크골프장 파크골프장의 도시공사(전 시설공단) 위탁관리와 유료화는 8대 의회 의원들의 요구로 비롯됐다.
2019년 2월 건설수변과에 대한 업무보고에서 신문식 의원은 “특정 단체의 횡포는 악덕 행위”라며 “현장 실태를 조사해 구미시민이면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라”며, 시정을 촉구했다.
장세구 의원은 “특정 단체가 파크골프장을 사유화하는 횡포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라며, 근본적인 관리 대책 마련을 요구했고, 안장환 의원은 이러한 의원들의 지적을 함축해 “구미시가 소유하고 있는 테니스장과 수영장도 유료로 사용하고 있는 만큼 파크골프장에 대해서도 유료제를 도입하라”고 촉구했다. 그래야만 시설물을 아껴 쓰는 등 책임감 부여와 함께 경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취지였다.
양진오 의원도 “파크골프장 활성화 및 효율화(위탁 및 유료화 포함)를 위한 용역을 전문기관에 의뢰할 필요가 있다”라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를 계기로 2년 후인 2021년 11월 26일 파크골프장을 2022년부터 구미시설공단(현 구미도시공사)이 위탁받아 유료로 운영한다는 내용의 ‘구미시 낙동강 파크골프장 관리운영 위탁 동의안’을 제출했고, 의회는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의회의 노력이 2년 만에 결실을 본 것이다. 하지만 낙동강유역청이 관내 7개 파크골프장과 관련한 하천 점용 허가를 득한 후 운영해야 한다는 소위 ‘선 하천점용 허가 완료 후 운영관리’ 입장을 밝히면서 ‘관리운영 위탁 동의안’에 따른 시설공단 위탁관리와 유료화는 보류될 수밖에 없었다.
파크골프장은 ‘민원 제조기’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관리요원들이 옷을 갈아입고 오찬과 휴식공간 제공을 위해 마련한 컨테이너는 사실상 특정 단체의 소유물로 전락했는가 하면 그곳에서 술판까지 벌이기 일쑤였다. 더군다나 이용하는 일반시민들을 대상으로 연회비를 요구하기까지 하면서 파크골프장 운영관리에 파격을 가해야 한다는 여론은 확산해 나갔다.
이러한 논란은 파크골프장을 시 직영으로 하기보다는 시설공단(현 도시공사)에 운영 위탁하도록 해야 한다는 시민적 요구로까지 확산해 나갔다. 정기 및 수시 인사 때마다 담당 직원이 자주 바뀌는 등 책임 소재가 불분명한 직영 관리보다는 위탁을 맡은 공사가 전문요원을 배치해 책임감 있는 관리 체계만이 답이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낙동강 파크골프장을 한시적으로 무료개방하는 내용의 조례안은 구미시 문화체육관광국의 의원 설득 노력에 달렸다는 반응이 강하게 흘러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