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곡역 혹은 구미역 앞 먹자골목 지정도 바람직
박대통령 생가 보리밥 체험집 확대 운영 필요
대구 대비 저렴한 가격의 아파트 등 양호한 정주여건 홍보 필요
2차 대구권 광역전철망 시대 대비, (가칭) 구미대역 신설 힘 모아야
|
|
|
↑↑ 8월 20일부터 시험운행하고 있는 대구권광역철도 [사진 제공 =경산시]
|
|
[분석 기획 칼럼 전문매체 K문화타임즈=발행인 김경홍] 12월 14일부터 비수도권 지역으로는 처음으로 대구권광역철도 시대가 개막한다.
경북 구미와 서대구, 동대구, 경북 경산을 잇는 대구권광역철도는 구미와 대구를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어낸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부여된다. 접근성 강화는 문화·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발전을 공유하기도 하지만 차별화, 특성화를 이뤄내지 못할 경우 힘의 논리가 작용하면서 자칫 위성도시로 전락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선도적으로 대응하면 ‘강소국’이 될 수도 있다. 대구권광역철도 시대를 맞는 구미의 현실이 그렇다.
12월 14일 개막하는 대구권광역철도 1단계 사업 구간은 구미~사곡~북삼~왜관~서대구~대구~동대구~경산을 잇는 총연장 61.85㎞이다. 최대 가용 능력은 좌석 78명, 입석 218명 등 296명이며, 차량 길이 20.47m, 폭 3.12m, 높이 3.75m인 이 열차는 최대 시속 100㎞ 속도로 대구와 경북을 오간다. 무궁화호보다 가격도 저렴하고 소요 시간도 10분가량 짧아진다.
국가철도공단에 따르면 대구권광역철도는 1일 기준 편도 61회로 운영되며, 출근 시간대에는 15분 간격, 평상시엔 20분에 한 대씩 배정돼 대구와 경북을 오간다. 아울러 광역철도 개통 전 대구와 경북의 광역환승제도까지 완비되면 획기적인 교통체계가 구축된다. 사실상 두 도시의 거리감을 크게 감소시켜 기존 지자체의 경계선을 허물며 구미와 대구의 생활권 시대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단기적,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대구시민들은 가장 와보고 싶은 곳으로 박대통령 생가와 금오산에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들이 자차 없이 광역전철망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비해 사곡역~박대통령 생가~구미역~금오산 입구를 정기적으로 순환하는 대중교통 체계를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아울러 대구시민들이 즐겨 찾을 수 있는 ‘먹자거리’를 지정 운영할 필요가 있고, 박대통령 생가의 보리밥체험집을 확대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 대구~구미 간 접근성이 강화되면 대구시민들은 상대적으로 아파트 가격이 저렴한 구미를 선호할 가능성이 없지 않다. 홍보기능 강화가 바람직하다.
금오산을 중심으로 한 구미시 경관과 연계한 관광문화산업 선도화사업 추진도 서둘러야 한다. 상징적 조치로 금오산 정상까지 친환경 케이블카를 연장 설치함으로써 대구 팔공산으로 향하는 입산객을 구미로 끌어들일 필요가 있다.
경북도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도 긍정적이다. 지난해 4월 구미 출신 김용현 도의원은 이철우 지사로부터 ‘명산마다 케이블카 설치는 세계적인 추세’라면서 ‘규제가 있다면 법을 개정해서라도 금오산 정상까지 친환경 케이블카가 연장설치하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따라서 이러한 우호적 상황에 힘입어 친환경 케이블카 연장설치를 위한 용역을 조기에 발주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구미시는 정상까지 환경케이블카를 연장 설치할 수 있는 근거 마련을 위해 지난 2월을 기점으로 내년 8월까지 ‘금오산도립공원 관리계획변경’을 위한 용역을 발주한 상태이며, 용역 결과를 토대로 경북도로부터 승인을 득한 후 사업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또 최소 소요 예산이 5백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시는 민자투자 혹은 재정투자 방식의 사업 예산 마련 방안을 고민 중이다.
아울러 금오산 도립공원- 구미공단- 낙동강 유역- 도리사 등 사찰–성리학 유산- 박대통령 생가를 벨트화하고, 동시에 우수한 관광자원에 부가가치의 옷을 입혀 나가도록 해야 한다. 광역전철망 시대에 대응해 구미시가 관광산업 활성화를 선도한다면 ‘대기업 본사 한두개’를 유치하는 이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5월 21일 구미시의회 박세채 의원은 5분 자유발언에서 김천-구미 간 대구권 광역철도 2단계 사업 구간에 (가칭) 구미대역을 신설하자고 제안해 반향을 일으킨 바 있다. 구미역의 교통망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 김천시로의 인구 유출 억제가 명분이다. 따라서 국토철도공단이 2023년 11월부터 사전타당성 조사용역을 발주하고 있는 대구권 광역철도 2단계인 구미~김천 간 연장 22.9 ㎞ 구간에 구미대역 이 신설될 수 있도록 선제 대응에 나서야 한다.
기존 구미역과의 이격거리가 4.5㎞에 불과해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될 수 있으나, 칠곡군의 경우 기존의 약목역과 대구권 광역철도 1단계 사업 구간에 신설한 북삼역과의 거리는 2km 떨어진 지점에 불과해 설득력이 없다.
특히 해당 지역의 인구는 6만 3,245명으로 구미시 전체 인구의 16%, 학생 수는 1만 100명으로 전체 학생 수의 19%가 분포하고 있는 데다 구미대역이 들어설 예정지와 인접한 구미대학교에는 2023년 현재 재학생과 교직원 등 5,300여 명이 재학·재직하고 있다.
특히 구미시는 대구권광역철도 시대에 대비한 T/F팀을 구성해. 대구시민 대상 설문조사 성향 분석 등 선제 대응에 나서도록 하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강소국 구미’가 될 수 있는 지름길을 개척하기 위해서는 행정과 정치권, 시민사회가 머리를 맞대어야 한다. 구미시의회 역시 소관 상임위별로 대책 마련을 강구해야 하고, 구미 출신 도의원들 역시 도 차원에서 지혜를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