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6대~9대 백남억 4선, 10대~11대, 13대~14대 박정수 4선, 15대~17대 임인배 3선, 18대~20대 이철우 3선, 20대(보궐선거)~21대 송언석 재선 (상주김천 중대선구제로 치러진 12대, 상주 후보에게 전패)
구미...6대(1963년)~8대 김봉환(3선), 9대~10대 구미출신 국회의원 배출 실패(선산, 군위, 성주 아우르는 중대선거구제), 11대~13대 박재홍 3선(비례 포함 4선), 13대~15대 김윤환 지역구 3선(비례 포함 5선), 14대~15대 박세직 재선, 16~18대 김성조 3선, 17대~19대 김태환 3선→ 19대 심학봉 초선, 20대 백승주 초선, 20대 장석춘 초선, 21대 구자근 초선, 21대 김영식 초선
|
|
|
↑↑ 혁신도시 공공기관. [사진 제공 = 김천시]
|
|
[k문화타임즈 = 발행인 김경홍] 오는 4월 김천총선에서 송언석 의원은 과연 3선에 성공할까. 아니면 정치신인이 새로운 김천 정치사를 써 내릴까.
70여 일 앞으로 다가온 김천 총선, 예비후보로 명함을 내민 출마예정자는 더불어민주당에선 황태성 김천시 지역위원장, 장춘호 김천희망연대 네이버밴드 리더 등 2명, 국민의힘은 임호영 전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한은미 국민의힘 중앙여성위원회 미래교육분과위원회 위원장, 김오진 국토부 제1차관 등 3명이다. 이외에도 무소속으로 박건우 김천시의회 의원도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김천은 6대(1963년)부터 21대(2020년)에 이르기까지 3, 4선이 정치사를 썼다. 6대부터 9대까지는 백남억이 내리 당선되면서 4선, 10대부터 11대, 12대를 건너뛴 13대와 14대까지는 박정수가 당선되면서 4선이 됐다. 하지만 김천과 상주 통합선거구로 치러진 12대에는 박정수 후보가 2명의 상주 후보(전두환 전 대통령의 동서 김상구, 이재옥)에게 패하면서 김천은 출신 후보를 배출하지 못했다.
이어 15대부터 17대까지는 임인배 전 의원이 3선, 18대부터 20대까지는 이철우 경북지사가 3선을 지냈으며, 송언석 의원은 20대 총선에서 이철우 지사가 지방선거 출마로 의원직을 내놓으면서 발생한 보궐선거와 21대에서 당선되면서 재선 의원이 됐다.
구미는 3선을 지낸 김태환·김성조 전 의원을 끝으로 재선 의원 시대를 열지 못했다. 19대와 21대에는 심학봉, 백승주, 장석춘 전 의원이 초선으로 정치를 마감했으며, 지금의 초선 구자근, 김영식 의원은 재선을 겨냥하고 있다. 1963년 후 60년간 재선~4선 시대를 이어 온 김천과 비교하면 격세지감이 들 정도다.
[김천 정치사]국회가 문을 열기까지 72년 동안 김천시(금릉군)가 배출한 국회의원은 권태의, 이병관, 우문, 여영복, 문종두, 김철안, 우돈규, 김세영, 백남억 (지역구 4선, 전국구 1선), 박정수 (지역구 4선, 전국구 1선)), 임인배 (3선), 이철우(3선), 송언석 의원 (재선) 등 12명이다,
같은 기간 18명의 의원을 배출한 상주시에 비해 김천이 6명 적은 12명의 의원을 배출할 수 없게 된 배경에는 상주시와 김천시, 금릉군을 선거구로 2명의 의원을 선출한 제12대 총선에서 2명 모두를 상주에 뺏겼고, 백남억(지역구 4선), 박정수(지역구 4선), 임인배•이철우 (3선) 등 다선의원이 많은 반면 상주의 경우 3선은 이상배 의원이 유일했기 때문이다.
▷최연소, 지역신문 사장 출신문종두 3대 의원은 37세에 당선됐다. 41세에 당선된 임인배 의원보다도 4년 빠른 나이에 등원안 문 의원은 일본중앙대학원을 수료하고 지역언론인 김천시보 사장을 지냈다. 지역언론 사장과 최연소라는 두 개의 타이틀을 거머쥐는 기록을 남겼다.
▷중졸, 여성 국회의원중졸 출신도 2명이나 됐다. 특히 중졸 여성 출신 국회의원을 배출했다는 점은 당시 시대 상황에 비추어 경이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 주인공이 바로 김철안 의원이다. 원내 자유당 부인부장을 맡고 있던 김 의원은 47세, 중졸과 여성이라는 장애를 극복하고 당선되는 기염을 토했다.
재선의원의 이력을 쓴 이후 정계를 떠났다.
▷백남억 국회의원구미 정치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김윤환, 박세직 의원이라면 김천 정치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백남억, 박정수 의원이다. 두 의원 모두 지역구 4선과 전국구 의원 등 5선을 지냈다.
2001년 유명을 달리한 백남억 의원은 1960년 민주당 소속으로 참의원에 선출돼 정계에 진출한 후 제3·4공화국 시절인 1963년부터 1979년까지 민주공화당 소속으로 6·7·8·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참의원까지 포함하면 5선이다. 김천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17년 동안 정치 활동을 하면서 김천 정치사에 큰 획을 그었다.
이력도 화려하다. 1963년 당 정책위원회 의장을 맡은 그는 당시 길재호,·김진만,·김성곤과 함께 이른바 '4인방'의 일원으로 민주공화당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1970년 당 의장서리에 오른 백 의원은 1973년 당무위원 겸 총재 상임고문을 지냈다
그러나 민주당 참의원으로 정계에 발을 들여놓은 뒤 공화당에 입당, 6대부터 9대까지 국회의원을 지낸 백 의원은 1979년 치러진 10대 선거에서는 46세의 신진 박정수 의원에게 쓴잔을 마셔야 했다.
2명의 정원인 김천, 금릉, 상주 선거구에 출마한 백 의원은 3만 5,200표를 획득했다. 1위는 박정수 4만 3,319표, 2위 장휘동 4만 2,477표, 4위 김윤하 3만 2,126표였다.
▷박정수 국회의원10대 총선에서 아메리칸 대학원 출신의 46세 박정수 후보는 4선의 백남억 의원을 누르면서 김천 정치사에 새로운 물꼬를 텄다. 그러나 4선 의원을 지낸 박 의원의 정치적 행보가 순탄했던 것만은 아니었다. 10대와 11대에 걸쳐 연거푸 무소속으로 당선된 박 의원은 1985년 실시된 제12대 선거에서는 쓴잔을 마셔야 했다.
2명이 정원인 김천, 금릉, 상주 선거구에 출마한 박 의원은 9만 5,657표를 획득한 전두환 대통령의 동서이면서 상주 출신인 김상구 의원과 3만 3,504표를 획득한 이재옥 의원에게 2천여 표 차로 패했다, 당시 박 의원은 3만 718표를 획득했다. 12대 선거에서 김천은 국회의원을 배출하지 못했다.
그러나 13대, 14대 총선에서 연거푸 당선되면서 4선의 이력을 썼다. 이어 15대 국회에서는 국민회의에 입당, 전국구 의원에 당선되면서 5선 의원이 됐다.
연세대 정치학과 3학년이던 1953년 미국으로 건너가 조지타운대를 졸업한 데 이어 1965년 부인 이범준과 함께 미국 아메리칸 대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유학파 엘리트 출신인 박 의원의 정치적 고향은 김종필 국무총리 보좌관이었다.
무소속으로 출마해 정치적 거물인 백남억 후보를 누르면서 이름을 알린 박 의원은 1996년, 2002월드컵 유치에 전념하겠다는 명분을 내걸고 전국구 의원직을 요구했다가 거절당하자, 김대중 대통령이 이끄는 새정치 국민회의에서 전국구 의원을 보장받는 조건으로 입당, 부총재를 역임했다.
하지만 앞길은 순탄치 않았다. 1998년 3월 외교통상부 장관에 임명된 박 의원은 기자회견을 통해 ' 김대중 대통령이 일본문화 개방 및 천황의 방한을 원하신다'는 발언과 서울주재 러시아 대사관을 강제 추방하는 등의 행보로 정치적 상처를 입으면서 5개월 만에 장관직에서 물러나야 했다. 한국 정치사의 한 페이지를 쓴 백남억 의원은 2003년 유명을 달리했다. 인생도 짧고 권력도 짧다는 엄연한 사실을 박 의원은 증거해 보였다.
▷임인배 국회의원1963년부터 1996년까지 33년 동안 사실상 백남억, 박정수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김천 정치사는 새로운 길로 들어섰다. 1996년 4월 실시된 총선은 지역의 최대 관심사였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후보군도 춘추전국이었다. 당시 실시된 총선에는 9명의 후보가 난립했다. 특히 한나라당 후보인 대검찰청 중수부 수사관 출신의 임인배 의원과 서울법대 출신으로서 법무부 장관,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무소속 정해창 후보의 맞대결은 세간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선거 결과 임인배 후보는 3만 4,576표를 얻어 2만 9,831표를 얻은 정해창 후보를 4천 700여 차로 누르는 기염을 토했다. 임 의원이 당선되자 언론은 ' 수사관 출신이 법무부 장관 출신을 이겼다'는 유행어를 만들어내기까지 했다. 9명이 후보가 난립한 선거에서 A모 후보의 경우 296표를 얻는 데 그쳐 또 다른 화제를 낳기도 했다.
세간의 화제를 뿌리며 41세라는 젊은 나이에 등원한 임 의원은 3선과 국회 상임위원장에 오르는 등 출세 가도를 달렸다. 하지만 4선의 고지를 넘기는 쉽지 않았다. .
▷이철우 경북도지사18대 총선에 처음 출마한 이철우 현 지사는 김천시장 출신의 무소속 박팔용 후보와 맞붙으면서 세간이 관심을 집중시켰다. 초반에는 열세였으나 선거 후반으로 오면서 역전에 성공해 당선됐다. 이어 19대와 20대 총선에 당선되면서 3선의 입지를 다진 이 지사는 2018년 6월 지방선거에 출마해 경북도 지사에 당선됐다.
◆역대 총선 결과
▷제1대 총선 (1948년 5월 31일- 1950년 5월 30일)상주 갑구에서는 무소속 권태의 후보, 을구에서도 역시 무소속 이병관 후보가 당선됐다.
▷제2대 총선 (1950년 5월 31일- 1954년 5월 30일)6•25전쟁이 발발하던 해였다. 2명의 의원을 배출했다. 대한국민당 우문 후보는 김천시 일원에서 48.6%를 얻어 당선됐고, 중졸 출신의 무소속 여영복 후보는 금릉군 일원에서 19.2%를 얻어 당선됐다.
▷제3대 총선 (1954년 5월 31일- 1958년 5월 30일)1954년 실시된 총선에서도 2명의 의원을 배출했다. 김천시 일원에서는 무소속 문종두 후보가 당선됐다. 지역 언론사인 김천시보 사장 출신의 문 후보는 37세로 역대 당선자 중 최연소였다.
금릉군 일원에서 39.6%를 얻고 당선된 자유당 김철안 후보는 김천 정치 역사상 최초로 여성이 국회의원에 당선되는 기록을 남겼다. 당선 당시 47세인 김 후보는 중졸 출신이어서 관심을 더 끌었다. 재선까지 가는 저력을 과시했다.
▷제4대 총선 (1958년 5월 31일- 1960년 7월 28일)4•19 혁명으로 임기가 2년이었다. 3대에서 당선된 무소속 문종두 후보와 자유당 김철안 후보가 또 당선되면서 동시에 2명의 재선 의원이 탄생했다.
▷제5대 총선 ( 1960년 7월 29일- 1961년 5월 16일)5.16 군사 쿠데타로 국회가 해산되면서 임기를 채 1년도 채우지 못했다. 김천시 일원에서는 무소속 김세영 후보가 46%, 금릉군 일원에서는 우돈규 후보가 24.5%를 얻어 당선됐다.
▷제6대 총선( 1963년 12월 17일- 1967년 6월 30일)김천시와 금릉군 일원에서 1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민주공화당 백남억 후보가 3만 2,527표(47.1%)로 당선됐고, 재선을 겨냥했던 국민의당 김세영 후보는 2만 9,256표로 2위를 차지했다. 3선을 노리던 재선의 여성 후보 자유당 김철안, 자유민주당 김승환, 민주당 김동영 후보도 선전했지만 쓴잔을 마셔야 했다.
결국 백남억 시대를 연 총선이었다.
▷제7대 총선(1967년 7월 1일- 1971년 6월 30일)김천시, 금릉군 일원에서 1명을 선출한 선거에는 5명의 후보가 출전했다. 민주공화당 백남억 후보는 3만 8,244(50.6%)표로 당선됐고, 신민당 이병화 후보가 3만 107표로 2위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자유당 김재곤, 민중당 김승환, 대중당 김동영, 한국 독립당 박용준이 후보로 나섰다.
▷제8대 총선 (1971년 7월 1일- 1972년 10월 7일)김천시, 금릉군 일원에서 1명을 선출했다. 3명의 후보가 나선 가운데 민주공화당 백남억 후보가 4만 173표(54%)를 득표하면서 당선됐다. 신민당 조필호 후보는 2만 4,569표를 얻는 데 그치면서 2위에 머물렀고, 국민당 정정문 후보는 9천 685표를 얻었다.
▷제9대 총선 (1973년 3월 12일- 1979년 3월 11일)김천시, 금릉군, 상주군에서 2명을 정원으로 하는 중선거구제를 도입했다. 7명의 후보가 나선 가운데 무소속으로 상주 출신인 김윤하 후보가 4만 6,980표(28.6%), 김천 출신인 민주공화당 백남억 후보가 4만 1,943표(25.5%)로 1, 2위를 차지하면서 당선됐다.
▷제10대 총선 (1979년 3월 12일- 1980년 10월 27일)전두환 정권의 쿠데타로 임기가 1년 6월에 그쳐야 했다. 김천, 금릉, 상주 일원에서 2명을 선출했다. 이 선거에서는 6~9대에 걸쳐 4선을 고수해 온 김천의 백남억 후보가 같은 지역인 김천의 박정수 후보에게 패배했다. 결국 백 의원이 지역 정치를 떠나면서 박정수 의원 시대를 예고했다.
7명의 후보가 나섰다. 무소속 박정수 후보가 4만 3,319표(24%), 무소속 정휘동 후보가 4만 2,477(23.5%)로 1, 2위를 차지하면서 당선됐다.
민주공화당 백남억 후보는 3만 5,200표, 무소속 김윤하 후보 3만 2,126표, 신민당 이기한 후보는 1만 5,113표를 얻었다. 이외에도 민주통일당 임재영, 무소속 이재옥 후보도 선전했다.
▷제11대 총선 (1981년 4월 11일- 1985년 4월 10일)김천, 금릉, 상주에서 2명 의원을 배출했다.
7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10대에 이어 무소속으로 출마한 김천의 박정수 후보가 4만 9,922표(28.2%), 상주의 민정당 정휘동 후보가 4만 6,093표(26.1%)를 얻으면서 1, 2위로 당선됐다. 민주공화당이 사라지고 민정당 시대가 열리던 때였다.
▷제12대 총선 (1985년 4월 31일- 1988년 5월 29일)
* 김천 출신 국회의원 배출 못 해김천, 금릉, 상주에서 2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3명의 후보가 나선 선거에서 상주 출신으로 전두환 대통령의 동서인 민정당 김상구 후보가 9만 6,567표(49.3%), 3수에 도전한 상주의 신한민주당 이재옥 후보가 3만 3,504표(17%)를 얻어 1, 2위로 당선됐다. 무소속을 고집하면서 3선을 겨냥해 온 박정수 후보는 3만 718표를 얻는 데 그치면서 쓴잔을 마셔야 했다.
▷제13대 총선( 1988년 5월 30일- 1992년 5월 29일)김천, 금릉에서 1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이때부터 지금까지 줄곧 동일 선거구에서 정원 1명을 유지해 오고 있다.
12대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패배한 박정수 의원이 민정당 후보로 나서서 5만 4,067표( 63.9%)를 얻고 당선됐다. 민주당 박희동, 평민당 정정문, 공화당 조석환 후보도 뛰어들었으나 역부족이었다.
▷제14대 총선 (1992년 5월 30일- 1996년 5월 29일)김천, 금릉에서 1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5명의 후보가 나섰다. 민정당에서 이름을 바꾼 민자당 후보로 출마한 박정수 후보가 4만 3,687표(53%)를 얻어 당선됐다. 민주당 정정문, 신정당 박휘동, 무소속 문종철 후보도 나섰지만, 차후를 기약해야 했다.
▷제15대 (1996년 5월 30일- 2000년 5월 29일)
6대부터 14대에 이르기까지 33년 동안 백남억, 박정수 의원이 주도해 온 시대를 종료시킨 선거였다. 그런 만큼 김천 선거 역사상 최대 경쟁률을 기록했다. 김천시와 금릉군이 통합된 가운데 치러지는 첫 선거라는 의미까지 부여됐다.
또 법무부 장관 출신의 정해창 후보와 수사관 출신의 임인배 후보가 맞붙어 흥미를 더해 주기까지 했다.
결국, 한나라당 임인배 후보가 3만 4,576표( 45.2%)를 얻으면서 2만 9,831표를 얻는 데 그친 정해창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이외에도 국민회의 공부동, 민주당 박연옥, 자민련 김한선, 국민연합 조석환, 무소속 박영우, 여인섭, 이병무 후보가 가세했으나 쓴잔을 마셔야 했다. 특히 모 후보는 296표를 얻어 역대 김천선거 사상 최소 표를 얻은 기록을 남겼다.
▷제16대 총선 ( 2000년 5월 30일- 2004년 5월 29일)김천시에서 1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3명의 후보가 나섰다. 기상청 홍보관으로 널리 알려진 김동완 후보에게 관심이 쏠리기도 했으나 3위에 머물렀다.
한나라당 임인배 후보가 역대 최대 득표율인 4만 9,544표(75.4%)를 얻으며 당선됐고, 민주당 박영우 후보 9천 274표, 자민련 김동완 후보는 6천 925표였다.
▷제17대 총선 (2004년 5월 30일- 2008년 5월 29일)김천시에서 1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3명의 후보가 나선 선거에서 한나라당 임인배 후보가 4만 1,686표(62.2%), 무소속 임호영 후보가 1만 6,584표를 얻었다. 열린 우리당 배태호 후보도 선전했다.
▷제18대 총선( 2008년 5월 30일- 2012년 5월 29일)김천시에서 1명 의원을 선출했다. 4선을 겨냥해온 임인배 의원이 낙천하면서 대신 이철우 후보가 한나라당 간판을 내세우고 나섰다. 이 선거 역시 3선 시장 출신의 박팔용 후보가 무소속으로 출마하면서 관심을 모았다.
선거 중반까지 박 후보가 압승을 거둘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으나 투표함을 열면서 이변을 연출했다. 한나라당 이철우 후보는 3만 5,933표(53.3%), 무소속 박팔용 후보 2만 9,820표였다.
▷제19대 총선(2012년 5월 30일- 2016년 5월 29일)
4만 9,909표, 83.5%라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보인 새누리당 이철우 의원이 재선에 당선됐다. 민주통합당 배영애 후보는 9천894표, 16.5%를 득표하는 데 그쳤다.
특히 이 의원은 전국 선거구 중 1위의 득표율이라는 영광을 안았다.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축하 전화를 할 정도였다.
▷제20대(2016년 5월 30일-2020년 5월 29일)35.74%의 득표율에 그친 무소속 박판수 후보를 누르며 당선된 이철우 의원의 득표율은 64.25%였다. 그러나 2018년 경북도지사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했다.
▷제20대 보궐선거(2018년 6월 13일- 2020년 5월 29일)
2018년 6월 13일 지방선거와 함께 실시한 보궐선거에서 자유한국당 송언석 의원은 3만 9,923표를 얻고 당선됐다. 박빙의 승부수였다. 차점자인 무소속 최대원 후보의 득표수는 3만 8,830표였다. 표 차가 493표에 불과했다.
△제21대 (2020년 5월 30일- 2024년 5월 29일)미래통합당 송언석 의원이 5만 9,993표를 얻으며 당선됐다. 민주당 배영애 후보는 1만 6,914표였다.
이외에도 무소속 이상용 후보 1,753표, 무소속 이성룡 후보 926표, 국가혁명배금당 박성식 후보 919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