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문화타임즈 = 김경홍 기자] 구미시 인구 감소의 원인을 기업 이탈과 청년인구 유출 탓으로 돌릴 일만도 아니다. 비수도권 지역의 타 지자체처럼 해를 거듭할수록 사망자는 느슨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출생아 수는 가파른 감소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속화하는 사망자 대(對) 출생아 수의 반비례의 추세에다 수도권 집중화가 심화되는 상황에 주목하면 도농통합 원년인 1995년 30만 2,143명으로 출발한 구미시가 2000년대 초 인구 40만 시대로 진입한 이후 20년 가까이 인구 40만 시대를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기적에 가까운 일이다.
◇90세 이상 초고령층 느슨한 증가세, 10세 이하 유년층은 가파르게 급감
2013년 대비 2023년 사이 초고령층은 얼마나 늘었고, 유년층은 얼마나 줄었을까.
구미시가 인구 통계지표를 집계해 공개한 원년인 2013년 11월 말과 그로부터 10년이 경과한 2023년 2월말 현재, 인구추이를 분석한 결과 41만 9,648명이던 인구는 40만 7,387명으로 1만 2,261명 줄었다. 하지만 비수도권 집중화가 가속화되고 해를 거듭하면서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의 반비례 곡선이 가파른 격차를 보인다는 점에 주목하면 기적에 가까울 만큼 선방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구미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자체가 공히 맞닥뜨리고 있는 출생아 수 급감으로 늙어가고 있다는 현실은 10년간 인구 추이가 입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 통계지표에 따르면 2013년 평균 연령은 34.9세였으나 2023년은 40.68세로 5.74세 늘었다. 10세 이하 유년층은 5만 2,185명에서 3만 9,693명으로 급감한 반면 90세 이상 초고령층은 744명에서 1,364명으로 1.83배 급증했다.
출생아 수 대비 사망자 수는 2013년 342명 대(對) 115명으로 2.93배의 격차를 보였으나, 2023년에는 179명 대(對) 170명으로 별 차이가 없었다. 사망자 수 대비 출생아 수의 좁혀진 격차는 인구 감소의 주된 요인으로 풀이된다.
◇2023년 현재 90세와 100세 이상 인구수
90세에서 99세까지 인구는 1,325명으로 10년 전 713명 대비 613명 늘었다. 이처럼 초고령층 증가세는 구미시도 늙어가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령대별로는 90세 351명(79명, 괄호 안은 남성 수), 91세 271명(50명), 92세 190명(50명), 93세 155명(29명), 94세 120명(23명), 95세 101명(19명), 96세 54명(10명), 97세 46명(6명), 98세 18명(3명), 99세 19명(3명)이다.
또 100세 이상은 39명으로 10년 전 32명 대비 7명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100세 14명(0명, 괄호 안은 남성), 101세 4명(0명), 102세 10명(0명), 103세 3명(0명), 104세 1명(1명), 105세 1명(0명), 106세 1명(0명), 107세 3명(0명), 108세 0명, 109세 0명, 110세 이상 1명(0명)이다.
◇2023년 현재 10세 이하 유년층 인구수
10세 이하 인구는 2013년 5만 2,185명에서 2023년에는 3만 9,693명으로 1만 2,492명 줄었다.
연령대별로는 0세 2,110명, 1세 2,354명, 2세 2,643명, 3세 2,890명, 4세 3,362명, 5세 3,621명, 6세 4,187명, 7세 4,544명, 8세 4,671명, 9세 4,381명, 10세 4,925명이다.
특히 0세는 10세 대비 2,815명 줄어 해를 거듭할수록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초중고 역시 입학생이 줄면서 공실이 늘어 대비책 마련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구미 소재 대학의 입학생이 감소하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돼 첨단학과를 증설하거나 특성화 학과 신설을 통한 외부 인력 유입책 마련이 절실해 보인다.
초고령층 증가에 대비한 구미시의 실버 정책에도 획기적인 대전환이 요구된다. 복지 공무원 증원과 국‧과장급을 늘리기 위한 인사정책.에도 탄력을 불어넣어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