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김천시 아포 임대주택단지 구미시 인구 500명 이상 빨아들여
▲김천시 등 구미시 인접지역에 지구단위 조기 지정 ‘발등의 불’
[K문화타임즈= 김경홍 기자] 구미시 인구 감소 둔화세가 2월 들어 크게 꺾이면서 비상이 걸렸다. KTX 구미역 유치, 통합신공항특별법 제정과 반도체특구단지 지정 및 방산혁신클러스터 유치와 관련한 우호적인 외부 전망에도 불구하고, 일선 행정이 동력을 살리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흘러나오는 이유다.
이 때문에 구미형 일자리 지정 효과가 인구 증가 등 만사를 해결해 줄 것이라는 허황된 기대감에 의존해 4년 내내 그 흔한 ‘주소 갖기운동’조차 손을 놓았던 민선 7기를 답습할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확산하고 있다.
윗선이 인구청년책과 신설, 운영을 통해 인구 증가를 위한 획기적인 정책 개발을 시도하고 있는 반면 아랫선인 현장 행정이 부응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례로 입시와 입사철을 맞은 2월 중순, 이웃한 김천은 주말에도 전 공무원을 주축으로 기업과 대학 등 ‘찾아가는 대학 및 기업 현장 전입반’을 운영했다. 이에 힙입어 김천대학과 김천보건대학이 소재하고 있거나 기업이 신규 입주하는 소재지의 인구는 반등했다.
|
|
|
↑↑ 구미시 전경 [사진 출처 = 산업단지공단] |
|
▲ 구미는 어떤가‘민선 7기 4년 동안 그 흔한 주소갖기 운동’조차 손을 놓고 있었다는 비판 여론에 주목한 김장호 시장은 지난 해 10월 5일 인구 41만 시대 회복을 위한 인구정책 종합대책 회의를 갖고 실·국을 중심으로 인구 기본핵심 정책인 주거, 일자리, 출산 양육, 교육 등 44개의 신규 인구증가 시책 안건 보고회와 우선순위 및 실효성 확보 방안에 대한 논의를 주도했다. 특히 인구증가 시책 안건으로 구미시민을 위한 우대, 대학생 및 청년 유입, 출산 및 아동 보육에 대한 정책이 중점 논의됐다.
김 시장은 특히 “모든 공직자가 무한 책임을 가지고 인구 증가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 달라.”면서 “다양한 인구활력 정책의 원활한 추진을 통해 시민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인구정책 목표 달성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나 이러한 윗선의 강력한 의지가 과연 일선 행정으로 흘러들고 있는가.
인구 증가 시책에 대한 강력한 드라이브에 힘입어 민선 8선 초입인 2022년 10월 들면서 기존의 매월 400명대의 인구 감소추세는 2022년 11월 말 -132명, 12월 말 -230명, 2023년 1월 말에는 -182명으로 둔화됐다.
하지만 2023년 2월 말 인구 감소가 -541명로 내려앉으면서 둔화추세는 산산조각이 났다. 특히 2월 말 인구 감소를 주도한 지역은 구미대학 소재지로서 수백 명의 전입 요인을 가진 선주원남동{-186명}이었다. 또 금오공대가 소재한 양포동은 2022년 12월 말 +30명, 2023년 1월 말 -4명에 이어 입시철인 2월 말에는 오히려 -17명으로 주저앉았다. 윗선의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의 힘이 아랫선인 현장으로 오면서 오히려 동력을 잃고 있다는 반증이다.
실례로 입시철을 앞둔 2월 들면서 김천의 현장 행정은 전 행정력을 동원해 기숙사 입소 신입생 현장 전입신고를 위한 ‘전입반’을 종일 운영했고, 힙입어 대학 소재지가 있는 지역의 인구가 반등하는 효과를 거뒀다.
반면 구미의 경우 주말은커녕 평일에도 구미대학과 금오공대 기숙사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전입반 운영은 생색내기에 그쳤다는 지적이다. 이러니,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구가 반등해야 할 대학 소재지역인 선주원남동과 양포동이 오히려 인구감소 둔화세를 꺾이게 했다는 비판을 피해갈 수 없게 된 상황이다.
한편 2024년에는 김천시 아포읍 소재 500여 아파트 임대단지에는 구미에 주소지를 둔 수백 명의 주민의 입주가 시작된다. 이어 북삼지역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도 구미시민이 대부분인 입주예정자가 입주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2월 말 현재 구미시 인구는 전월보다 544명이 격감한 40만 7,387명, 강력한 구미시 인구정책 마련과 KTX구미역 유치 및 통합신공항 특별법 제정, 반도체 특구단지 지정 및 방산혁신클러스터 유치라는 긍정적인 외부 요인에도 불구하고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장 행정, 인구 41만 시대로의 진화는커녕 상징적 마지노선인 40만 구미시 인구시대 사수를 자신할 수 있겠느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확산하는 이유다.
‘한 개의 과일일망정 더 거둬들이겠다는 일에 대한 책임 부재가 더 큰 문제라는 지적“, 구미시의 현장 행정의 현주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