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문화

기획• 마냥 죽어지내라는 법은 없다, 기사회생한 선산지역 정치

김경홍 기자 siin0122@hanmal.net 기자 입력 2022.04.17 06:37 수정 2022.04.17 06:41

선산읍•고아읍 •무을면•옥성면•도개면
1명의 시의원을 내주어야 했던 2010년의 악몽
되씹어야 했던, 긴박했던 2022년 4월 중순


↑↑ 구미시 선산출장소 [ 사진 출처 = 선산출장소]



[k문화타임즈 = 김경홍 기자] 개정 공직선거법 국회 통과가 임박한 4월 중순, 선산읍과 고아읍 등 선산지역 민심은 흉흉했다.‘술 좌석마다 선산이 어쩌다 이처럼 처량한 신세가 되었느냐“는 비통함이 문틈으로 흘러든 한파처럼 선산지역의 안방 민심을 싸늘하게 파고들었다.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거론되는 선거구 획정 논의가 ‘인구 하한선’이라는 ,벽을 넘지 못할 경우 오백년 옛 산산군의 명맥을 이어온 선산읍과 고아읍,무을•옥성•도개면이 배출하는 시의원은 기존 4명에서 3명으로 줄어들게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마냥 죽으라는 법은 없었다;. 4월 15일 국회 의장은 기존대로 선산읍•무을면•옥성면•도개면 선거구에 2명, 고아읍 선거구에 2명의 시의원을 선출하도록 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에 방망이를 두들겼다.

선산 지역이 이처럼 역사의 고비 때마다 과민하게 반응하는 이면에는 농촌지역인 선산군민이 반발에도 불구하고, 1995년 정부가 몰아붙인 도농통합의 쓰나미가 유구한 역사에 빛나는 옛 선산군을 구미시에 흡수 통합시킨 역사적 아픔 때문이었다.
지역 출신 도의원의 삭발과 길거리로 쏟아져나온 지역 주민들의 집단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부 방침대로 선산군은 유구한 역사의 존재 가치를 구미시의 기록 속에 흡수시켜야 했다. 흡수 통합에 대한 이 지역 주민들의 우려는 그대로 현실에 투영됐다.

틍합 후 인구 5만 명이던 선산읍 인구는 이후 1만 5천 명 아래로 내려앉았고, 깃발이 휘날리던 주요 관공서의 깃봉에는 철새들에게 자리를 내주어야 했다. 선산읍을 기사회생시키겠다는 야심작, 선산레포츠타운은 부지만 매입한 채 그대로 방치됐다. 구미시의 예산이 농촌지역인 선산보다는 제조업 중심 지역으로 몰린 까닭이었다.

2020년 구미시 예산을 심의할 당시 양진오 의원이 “민선 7기는 시•군(도•농) 통합정신도 버리고, 농업과 농촌도 버리고 갈 것이냐”며 “전체 예산 규모가 증액됐는데도 불구하고 농업 농촌 예산을 감액한 민선 7기의 농업 농촌 시책사업은 납득할 수 없는 처사”라며, 울분을 삭였을 정도이다.
2020년 구미시 예산이 전년 대비 3.6% 증액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농업기술센터가 16%, 선산출장소 예산이 10% 줄어드는 등 해마다 농촌 예산이 줄어드는 현실을 지켜보아 온 농촌 출신 시의원이 지역 주민의 심정을 그대로 노출한 사건이었다.

◇4월 중순 시의원 정원 감축 움직임, 왜 선산주민들 격하게 반응했나
2010년 1월 초, 구미시에서 모바일 선포식이 있던 날 당시 당 정책위의장을 지내던 구미갑구의 김성조 의원은 도당 위원장을 맡고 있던 구미을구의 김태환 의원에게 이런 통보를 했다.
“2009년 9월 말 현재 갑구가 을구에 비해 인구가 4만 명이 더 많기 때문에 10명 대 10명인 갑•을구의 의원 정수를 11명 대 9명으로 조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날, 김성조 의원이 김태환 의원에 대한 통보는 결국 선산지역에 비보로 날아들었다.
현실이 될 경우 고아읍에서 2명, 선산읍•무을면•옥성면에서 2명 등 지역의 민의를 대표하는 의원 수를 1명 줄어든 3명만을 배출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이 지역 주민들은 강력하게 반발했고, 민심을 대변한 김태환 의원은 “ 을구가 도농복합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더 이상 시의원 수를 감축할 수 없다”는 입장을 김성조 의원에게 전했다. 하지만 돌아온 답은 “원칙대로 하자”는 것이었다.

결국 합의가 무산되자, 선산읍과 고아읍의 의원 정수 1명을 감축하는 내용의 ‘경상북도 시군의회의원 선거구와 선거구별 의원 정수에 관한 전부 개정 조례안’은 23개 시군 도의원들이 집결한 경복도의회 본회의장 표결로 이어졌다.
갑•을구 출신 도의원들이 자신의 지역구로 시의원 1명을 더 가져가고, 지켜내기 위해 ‘누워 침을 뱉던’ 2010년 당시의 모습은 구미시 비극의 한 단편으로 기록될 정도였다.

결국 표결 끝에 이긴 구미갑구는 기존 10명에서 1명을 더 증원하면서 11명의 시의원을 확보했고, 구미을구는 기존 10명에서 1명이 줄어든 9명으로 줄어드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이 여파에 밀려 고아읍 2명, 선산읍•무을면•옥성면 2명의 시의원 정수는 선산읍과 고아읍, 무을면과 옥성면을 통합해 3명의 시의원을 선출하는 비운을 맞아야만 했다.

그리고 2010년 6월 지방선거에서 갑구에 뺏긴 1명의 시의원을 선산지역이 되찾아 온 것은 2014년 2월, 구미을구의 김태환 의원과 구미갑구의 심학봉 의원이 서로 만나 대의적 합의를 본 결과였다.

◇마냥 죽어지내라는 법은 없다, 기사회생한 선산지역 정치
지난 4월 15일 국회가 구미시의회의 의원 정수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개정 공직선거법에 방망이를 두들겼다면 선산읍과 고아읍, 무을면과 옥성면은 1명의 시의원을 내주어야 하는 비극을 피해갈 수 없었다.
하지만 국회 정개특위가 공직선거법 개정을 막판에 두고 구미갑구와 을구에 각 1명의 시의원을 증원하도록 하면서 고아읍과 선산읍•무을면•옥성면은 기존대로 각각 2명 정수의 의원을 선출하게 됐다.

‘마냥 죽으라는 법은 없다’. 하지만 죽지 않기 위해서는 기사회생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도농통합의 피해 당사자인 선산지역이 피해 의식에서 벗어나 앞을 향해 나가야 한다’는 역사적 주문 앞에서 지역 출신 정치인들과 민심이 호응하고 있는 것은 긍정적인 일이다.
이들 지역의 민심이 갈수록 가열차기 때문에 6월 1일 실시하는 구미시장 선거를 앞둔 예비후보들은 너도나도 ‘농촌 부흥에 대한 공약’을 일순위로 끄집어 올리고 있다.
‘마냥 죽어지내선 답이 없다’.‘일어서기 위해 발버둥을 치고 지혜와 슬기를 발휘해야만 기사회생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저작권자 K문화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