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기획 칼럼 전문매체 k문화타임즈 = 김경홍 기자]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43개 지방의회를 대상으로 청렴도 전수평가를 실시한다. 2023년까지 일부에 한정해 평가해 온 권익위의 이같은 결정은 지방현장의 고착화된 부패 취약분야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방의회의 ‘24년도 청렴도 평가 점수는 행정기관이나 공직유관단체에 비해 매우 미흡했다.
평가내용으로는 지방의회에 대한 국민들의 청렴체감도를 ▴불공정한 직무수행 등에 대한 부패인식과 ▴금품 등 요구‧수수‧약속 등 부패경험에 대한 설문을 통해 측정하고, ▴청렴정책 추진체계, ▴추진실적, ▴시책효과성 등 청렴노력도를 8개 지표를 통해 평가한다.
특히 관심을 모으는 평가 항목은 금품 등 요구·수수·약속 등 부패경험를 설문을 통해 측정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지방의원의 뇌물수수 등에 연루되었을 경우 해당 지방의회의 청렴도는 최하점을 벗어날 수 없게 된다.
국민권익위는 8월부터 청렴체감도 설문조사에 이어 10월부터는 청렴노력도 및 부패실태 평가 등을 실시해 12월 최종 평가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국민권익위 유철환 위원장은 “지방의회 등 행정기관과 공직유관단체의 종합청렴도 평가를 통해 부패 취약분야 개선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기본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