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문화타임즈] 경상북도가 23일부터 보건의료재난 위기를 ‘경계’에서 ‘심각’ 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대책 기구도 행정부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총괄지원본부에서 도지사가 본부장을 맡는 재난안전대책본부로 격상해 대응키로 했다.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정책을 반대하는 전공의들이 근무지 이탈 등 집단행동에 따른 의료 공백 위기가 가시화된 데 따른 조치다.
이처럼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가자, 23일 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한 이철우 지사는 의료 공백에 따른 도민들의 불편 최소화를 위해 도내 22개 시장, 군수의 의견을 청취한 데 이어 ▲시군 지대본 구성 및 총력 대응▲ 관내 의료기관 진료 현황 상시 모니터링 ▲ 응급의료체계 유지 ▲ 공공병원 및 보건기관 평일 2시간, 토요일 연장근무 등 진료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한편 도는 또 도지사를 본부장으로 ▲행정부지사(차장) ▲안전행정실장(총괄조정관) ▲기획조정실장(총괄지원관) ▲복지건강국장(통제관) ▲보건정책과장(담당관)을 지휘부로 구성하고, ▲상황관리총괄반 ▲긴급생활안정지원반 ▲구조구급반 ▲의료방역반 ▲재난수습홍보반 등 10개 실무반을 편성해 우선 대응키로 했다.
특히, 선제적으로 7억 3,100만 원의 재난관리기금을 투입해 공공의료기관의 비상진료 및 보건의료 인력을 지원하고, 실국별 전담제 운영을 병원 전담반으로 편성해 병원과의 소통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 |
↑↑ 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한 이철우 지사는 의료 공백에 따른 도민들의 불편 최소화를 위해 도내 22개 시장, 군수의 의견을 청취했다. [사진 제공 = 경북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