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일 낮까지 누워 있었는데도 피곤이 풀리지 않는다면 신체적인 검사와 심리 정서적인 검사를 통해 몸과 마음의 건강을 체크해 보자. 검사에서 이상이 없다면 무리하게 일을 감당하고 있는지 또 스트레스가 있는지도 짚어보자.
“잠을 충분히 잤는데도 피곤하고 개운하지 않아요. 몸이 처지고 힘들어요.”
많은 청년과 직장인이 만성피로로 진료실을 찾는다. 10년 전과 비교해 보면 최근 젊은 층에서 부쩍 더 피로를 호소하고 있다. ‘피로사회’라는 제목의 책이 큰 관심을 끌었던 것처럼 피로는 지금 시대를 관통하는 사회적 현상 중 하나인 듯하다.
피로의 원인은 뭘까?
피로의 원인을 찾기 위해 병원에 오면 주치의는 신체적 원인을 찾기 위해 여러 가지 검사를 한다. 먼저 혈액 검사를 통해 빈혈이 있는지, 갑상선 기능이 떨어졌는지, 간 기능이나 신장 기능에는 문제가 없는지 확인한다. 이와 함께 숨어 있는 결핵 같은 감염질환이 의심되면 흉부 X선 촬영을 한다. 간혹 검사를 많이 하는 의료진을 만나면, 각종 내분비 검사나 미세영양소 검사, 중금속 검사를 권유받을 수도 있지만, 교과서적인 진료를 하는 의사라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할 것이다. 그런데 이런 검사를 해봐도 대부분 정상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심리정서 부분도 체크
다음으로는 수면장애나 우울·불안 등 심리 정서적인 문제가 있는지 문진한다. 의외로 많은 원인이 여기에 있는데 특히 스마트폰 사용이 늘면서 수면 패턴이 흔들리고 수면 부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자기 위해 누울 때 스마트폰을 끄거나 다른 방에 두는 것만 해도 수면장애뿐 아니라 피로 문제가 개선되는 경우가 많다.
20~30대 국가건강검진에 우울증에 대한 검사도 포함돼 있다.2018년까지만 해도 정신건강(우울증) 검사는 40·50·60·70세에서 시행했지만, 현재는 만 20세부터 매 10년마다 검사대상이다. 만약 연속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이 든다면 의료진과 상담을 하도록 한다. 검사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만약 우울증이 의심된다면 몸 건강뿐 아니라 마음 건강을 함께 관리해 줄 수 있는 의료진과 꼭 상담하면서 도움을 받아야 한다.
일과 스트레스 관리는?
만약 모든 검사나 문진에서 정상이 나온다면 본인의 체력에 비해서 너무 과도하게 일이나 스트레스를 감당하고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내 몸과 마음은 쇠잔해졌는데, 주변에서 요구하는 관계나 성과를 유지하기 위해 무리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심지어 자주 커피를 마시면서까지 체력을 쥐어짜 무리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시간이 누적되면 자신의 의지로는 조절할 수 없는 자율신경 기능이 저하되어 만성피로와 함께 기능성 위장장애, 어지러움, 가슴답답함 등이 발생하고 몸의 긴장도가 올라가 근육통이나 긴장성두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체력이 감당할 수 있도록 조절
만성피로에는 특효약이 없다. 우선 자신의 체력과 능력이 제한적이라는 것을 인정한 다음, 10가지 일 중 가장 중요한 3가지 일만 하고 나머지 7가지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거나 포기하는 결정을 해야 한다. 이를 우선순위 재설정이라고 한다.
간혹 일과 스트레스는 그대로 둔 채 과도하게 추가로 운동을 늘리는 경우도 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 몸이 부담을 느끼며 마음 관리도 함께 힘들어진다. 일과 스트레스를 체력이 감당할 수준으로 낮춘 다음 운동을 통해 체력을 회복해야 한다. 보통 3~6개월 정도 내 몸 경영에 우선순위를 두면 체력과 자율신경계를 회복할 수 있으며, 피로 증상도 개선된다. 그 후에 일의 양이나 강도를 서서히 높이는 것이 순서다.
# 자료제공 - 한국건강관리협회 경상북도지부(대구북부건강검진센터)
글 박상민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국건강관리협회 건강소식 2023년 7월호 발췌
# 검진문의 : (053)350-9000, http://www.kahpgb.co.kr
# 네이버 예약 : https://booking.naver.com/booking/6/bizes/222044